https://www.youtube.com/watch?v=bX99I8AEe1M 김영익
20161220글로벌 금융시장 전망과 재테크 전략 - 김영익교수
[출처] 글로벌 금융시장 전망과 재테크 전략 - 김영익교수|작성자 연우진성
위기때 돈을 벌수있는 기회
앞으로 1~2년 사이에 위기가 올것 같다
한국경제는 저성장에 접어 들었다.
금리상승은 일시적, 장기적으로 0%대, 인플레보다 디플레를 대비
세계경제소비의 축은 미국에서 아시아로... 특히 중국을 공부하라
중국돈의 일부가 우리나라로 흘러 들어오고 있다.
생명보험회사가 버티기 힘들것이다 보험가입할때도 확인잘하라.
내년 미국금리 1차례 인상 예상
자녀들에게 너무 공부공부하지마라. 감성적인 생각과 일을 할수 있게 하라. 로봇이 다해준다.
달러 내년 3월을 전후하여 떨어질듯
제조업 경기가 좋지 않아서 달어가 오를수가 없다.
금 ETF로 금을 사라. 내년 3월까지...(김영익교수님은 지금 금비중이 20%정도, 향후 30%까지 늘릴생각이라고 하시네요)
환율 일시적으로 1,200원 넘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1,150원~1,160원 정도 형성할듯
언론하고 거꾸로 행동하라.
대출은 변동금리, 예금은 고정금리
집은 하우스가 아니고 홈이다(하우스는 집값상승도 기대하지만 홈은 그냥 편안히 지내는 곳)
갈수록 부동산은 떨어지는 자산이 될 것이다.
집은 투자재가 아니라 소비재다.
금리가 1%대에서 장기적으로 0%대로 떨어질 것이다.
2017년까지 주가는 일정범위내에서 조정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해외주식도 포트폴리오에 담아라.
헤지펀드에 투자비중을 늘려라. 각종 ETF에 관심을 가져라
금 투자를 늘려라.
거래 금융회사를 잘 선택해야 한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라.
입니다...
[출처] 글로벌 금융시장 전망과 재테크 전략 - 김영익교수|작성자 연우진성
2017 한국부자보고서 - 얼마정도면 부자일까?
안녕하세요. 연우진성 이재하입니다.
2017 한국부자보고서를 봤습니다.
10억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부자들을 대상으로 자산관리 방식, 포트폴리오, 라이프스타일 등을 조사해서 분석한 것입니다.
부자의 기준을 부자들이 말하길 100억이상, PB들은 50억이상이라고 합니다.
얼마정도면 부자일까? 여러분들은 얼마정도면 부자라고 생각을 하시나요?
강의때 질문을 하면 많은 사람들이 최소30억에서 100억을 얘기하시더군요.
그럼 과연 그 돈을 모을수가 있으신가요?
너무 큰 돈을 생각하고 있어서 지레 포기를 해버리는건 아닌지 생각을 해보셔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부자의 기준을 정해두지는 않았습니다.
그냥 현금성자산 10억이 되면 은퇴하겠다란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여기서 은퇴는 일은 안한다는게 아니고 더 자유롭게 일한다입니다.)
매월 불편없이 생활할수 있는 정도의 돈만 죽을때까지 꾸준히 나와준다면 그게 부자가 아닐까요?
전 소박하거든요...^^(욕하지 않기~~)
이런것 때문에 공무원을 선호하는 것일수도 있겠네요...
살아갈수 있는 조그마한 집 한채있고, 금융자산으로 10억정도만 있다면...
전 그걸로 행복한 인생을 살 수 있다는 생각을 했고 플랜을 짰습니다.
단, 조건이 하나 붙습니다. 금융공부를 꾸준히해서 연5~10%이상의 수익을 올릴수 있어야 됩니다.
10%이상의 수익을 올리면 원금 줄어드는 일 없이 조금 여유롭게 살수있겠구요, 5%의 수익률이라도 원금+수익률로 살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자신만의 부자의 기준을 세워보는건 어떨까요?
역시 부자들이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이 많이 크네요...^^
돈이 많을수록 부동산의 비중이 커집니다. 많은 돈으로 투자할 곳이 별로 없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금융 포트폴리오를 보니 100억이상의 부자들은 주식, 펀드의 비중이 현금비중보다 많이 높습니다.
수익률 분포를 보더라도 큰 수익을 거두지는 못합니다. 5~10%정도의 수익을 올리고, 올리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소비는 과연 어마어마 합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부자들이 써줘야겠죠? 그래야 나라가 돌아갈테니깐요...
일하는 시간은 굉장히 짧습니다. 일반인들에 비해서요...
반면에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은 깁니다. 당연한 결과라고 보여집니다.
왜 부자가 되어야 되는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차트라고 생각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스크랩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 180320.- (0) | 2018.03.20 |
---|---|
매경 171108--180208 (0) | 2017.11.08 |
서울 주요 핵심상권 `권리금 포기` 점포 속출 (0) | 2016.12.29 |
골드만삭스 (0) | 2016.12.01 |
17.세지포 (0) | 2016.09.07 |